
안녕하세요! 우주파파입니다. 오늘은 군대 지원(모병) 중 하나 인 연고지복무병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연고지복무병이란? 아래 연고지 시·군별 입영부대 및 복무부대에 해당되는 거주자에 한해서 군복무를 하고자 할 때 지원 입영하는 제도입니다. 연고지복무병은 연고지 인근부대로 배치되므로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군생활의 조기적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익숙하므로 전투력 발휘에 용이한 제도입니다. 연고지복무병 복무부대(강원 또는 경기일원 예전 1,3군 관할 예하 19개 부대) 강원(지작사 동부) 예하부대 : 7,12,15,21,22사단/102기갑여단/2,3포병여단 경기(지작사 서부) 예하부대 : 1,3,5,6,25,28사단/1,5포병여단/1,2,5기갑여단 '23년 육군 연고지복무병 복무제도 개..

안녕하세요! 우주파파입니다. 오늘은 군대 지원(모병) 중 하나 인 직계가족복무부대병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직계가족복무부대병 제도란? 직계존속ㆍ형제자매 및 외조부모가 복무한(복무 중인) 부대(아래 1,3군 예하 31개 부대만 해당)에서 군복무를 하고자 할 때 지원입영하는 제도입니다. ※ 복무부대(지상군작전사령부 예하 31개 부대) - 아래 부대중 1개 부대만 지원할 수 있음 - 지작사(동부) 예하부대(14개) : 7,12,15(27),21,22사단/11기동사단(20사단)/23경비여단/2,3포병여단/2,3공병여단/3기갑여단/20기갑여단/102기갑여단 - 지작사(서부) 예하부대(17개) : 1,3,5,6,8기동(26),9,25,28사단 /1(6 포병여단 중 878·968·969대대),5(6) 포병..

안녕하세요! 우주파파입니다. 매년 설날 먹는 우리의 대표 음식 떡국의 유래, 먹는 이유, 흰 떡의 의미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떡국 유래 ‘떡국’은 설 명절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예로부터 설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인만큼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뜻으로 깨끗한 흰떡을 끓여 먹은 데서 유래되었습니다. 또 이 날 먹는 떡국은 ‘첨세병’이라고 해서 나이를 한 살씩 더 먹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기도 합니다. 실제로 예 사람들은 나이를 물을 때 "병탕 몇 사발 먹었느냐?"라고 묻기도 했습니다.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을 ‘백탕’ 혹은 ‘병탕’이라 적고 있는데, 즉,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이라 했으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이라 했다고 나와 있습니다. 떡국은 정조차례(새해에..